각종정보 (1) 썸네일형 리스트형 되고, 돼고 정확히 구분해서 사용해야 창피 당하지 않아요. 되고와 돼고, 그 차이를 이해합시다 우리 일상 속에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요즘에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출연자들이 하는 말이 자막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흐름이 유행이 되어서인지,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 자막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자막의 맞춤법 오류 문제 그러나, 자막에 나오는 표현들 중에서는 맞춤법이 잘못된 글자들이 상당히 많이 보입니다. 이런 오류는 시청자들의 언어 사용에 잘못된 영향을 주고, 결국 언어 공해로 작용하게 됩니다. 특히 자주 발생하는 오류 중 하나가 '되다'와 관련된 활용형의 오류입니다. ‘되다’의 올바른 활용: '돼다'와 '되고' '되다'에 서술형 종결 어미 '-어요'가 붙을 때, '되어요'가 되는데 이것이 줄어든 형태가.. 이전 1 다음